현재 간호학에서 기초간호자연과학은 해부학, 생리학, 약리학, 병리학, 미생물학, 생화학 등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일부대학은 통합되어 있으며, 교과목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교과내용과 교육목표의 표준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Choe & Shin, 1997; Yoo, Ahn, Yeo, & Chu, 2008). 기초간호자연과학 과목은 방대한 개념 및 내용에 비하여 제한된 강의 시간수와 강의를 기본으로 한 이론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간호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새롭게 개편된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생물 및 화학을 이수하지 않는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효과적인 강의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Yoo et al., 2008). 특히 미생물학의 경우 다른 기초간호과학 교과목보다 간호대학이나 간호학과 전임교수가 담당하는 것보다, 의대지원이나 외부강사에 의해 강의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Choe & Shin, 1997), 2007년 간호대학 평가순위 상위 5개 대학의 경우 실습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1개에 불과하였다(Yoo et al., 2008). 실제로 임상간호사가 필요로 하는 미생물학적 지식의 세부 내용은 병원감염, 감염, 바이러스, 진균, 세균, 미생물의 분류 등의 순서로(Choe et al., 2000), 최근 의료관련 감염의 증가와 더불어 항균제 내성균의 증가, 새로운 전염성 질환의 재출현, 면역억제 환자수가 증가 등으로 미생물학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생물학의 임상적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Byeon et al., 2002;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