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적 영상교육이 혈액투석환자의 투석 관련 지식, 환자역할행위,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 한국기초간호학회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제15권 제3호
-
2013.08122 - 132 (11 pages)
- 491

인구 고령화와 함께 고혈압 및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합병증으로 인한 만성 신질환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 신대체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1990년 7,307명(인구 100만 명당 172.6명)에서 2011년에는 63,341명(인구 100만 명당 1,224.8명)으로 증가하였고, 이 중 복막투석환자는 7,694명, 신장이식은 13,051명, 혈액투석환자는 42,596명으로 전체 신대체 요법 환자 중 67.2%가 혈액투석환자이다(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2). 혈액투석은 1회 4시간 이상, 주 2-3회 투석 치료를 해야 생명연장이 가능하며(Chang et al., 2011), 혈액투석 치료는 신장의 배설, 조절, 합성, 대사기능 중 배설기능만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신장의 조절, 합성, 대사기능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 약물요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말기 신질환자가 혈액투석으로 생명을 유지하면서 합병증을 예방하고, 최상의 신체상태를 유지하며, 최적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단백질, 적절한 영양 섭취와 같은 균형 맞춘 식이조절, 약물조절, 운동과 휴식, 동정맥루 관리를 통한 원활한 혈류 유지, 투석스케줄 지키기, 충분한 투석시간 유지하기 등의 환자 스스로 최상의 환자역할행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Bae, 2005; Hong, 1999; Kim et al., 2012). 이를 위해 혈액투석환자에게 혈액투석과 관련된 내용 및 정보나, 환자역할행위에 대한 내용 및 정보를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교육하여 관련 지식을 증진 및 향상시키게 되면, 환자역할행위 이행도도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다(Bae, 2005; Kim & Kim, 2008; Kim et al., 2012; Na, Lee, & Song, 2004). 또한 혈액투석환자들의 신체 상태를 평가할 때 혈중 칼륨, 혈중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 투석적절도와 같은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며, 적극적인 환자역할행위 이행이 생리적 지표를 향상시키고(Cho & Choe, 2007; Kang & Park, 2010; Kim & Kim, 1992; Kim & Kim, 2008; Park & Lee, 2010), 지속적인 생리적 지표의 향상을 위해서는 계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Kim & Kim, 1992).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