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21세기로 접어들면서 문화, 경제, 과학 등 여러 분야의 비약적 발전으로 거듭나고 있으며 그 중 보건의료분야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권향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Oh, 2011). 간호계도 건강관리 체계가 다양해지고 질 높은 서비스가 요구됨에 따라 간호 기술과 지식이 변화에 발맞춰 성장하고 있으며, 의료 환경과 사회 구조의 변화, 사회적 요구가 변화하게 되면서 다양한 역할 수행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Kim & Kim, 2009; Park, 2000). 특히 2008년 1월부터 법률시장 개방에 대비하여 일반 국민이 배심원으로 재판에 직접 참여하는 배심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증거재판주의를 강조하는 등 사법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영향을 받은 의료 환경은 간호사에게 간호 대상자로부터 실제적 증거를 수집, 기록하는 법의간호학적 역할 수행을 요구하게 되었다(Jeong, 2007; Jo, 2012; Kim, 2011). 현재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성폭력 관련 범죄는 조두순 사 건(2008.12), 김길태 사건(2010.2)을 비롯하여 2000년 10,189건에서 2009년 16,156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0), 아동·노인 학대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은 일부 단체를 중심으로 상담을 진행해 오 던 방식에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피해는 물론 가족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그 심각성에 대한 인식의 증가에 따라 의료, 수사 및 법률 분야와 협력하는 형태로 변하고 있다(Cho, 2012).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