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국내 만성질환 유병률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데,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약 90.9% 이상이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 airs, 2009), 노인 만성질환자 대부분이 신체적 기능 저하로 인한 심리적 위축과 사회로부터의 소외를 경험하기 쉬워, 올바른 건강증진 행위를 하는 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8; Williams, 2002). 만성질환 관리의 궁극적 목표는 질병의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와 질병 악화를 지연시켜 합병증 을 예방하는 데 있으며(Gellad, Gernard, & Marcum, 2011), 이를 위해 식습관,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포함한 비약물요법 과 약물요법의 지속적인 이행이 요구된다(Brownie, 2006). 만성질환자 증상관리에 있어서 약물요법은 장기간에 걸친 올바 른 복용 이행이 특히 강조되는데(Lee, 2002), 국내 노인 만성질환자 의 경우, 2-3가지 약을 복용하는 환자가 52-75%에 이르고(Han, 2007; Lee & Park, 2002), 이 중 의사의 처방대로 약을 잘 복용한 경우는 약 47-78%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08; Park 2008). 약을 제대로 복 용하지 않을 경우, 치료효과가 급격히 떨어져 재입원과 질병악화로 인한 삶의 질 저하는 물론, 사망과 같은 부정적 건강결과를 초래할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는 의료비 상승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Wertheimer, Chaney, & Santella, 2003)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사회현 실을 고려할 때, 취약계층인 노인 환자의 올바른 물복용 이행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