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17.jpg
학술저널

국제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서에 대한 시론

  • 228

이 글은 사회적 수요가 늘고 있는 국제사회복지사의 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 고, 대학교에서 국제사회복지 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후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 의회가 만든 국제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서와 이에 따른 교재개발 등을 논의하 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사회복지사를 국제전문가로 양성하는 방법은 대학원에서 국제복지전공, 학부 에서 국제복지의 특화, 그리고 NGO나 학회에서 교육 등 다양하다. 대학원에 국 제복지전공을 특화시킨 경우는 이화여대 사회복지대학원이 한국 최초이었다. 대학교에 국제사회복지학전공을 개설한 경우는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이었다. 국제사회복지학전공은 국제, 다문화, 통일로 특화되었다. 남서울대 사회 복지학과 등은 NGO와 국제사회복지 등으로 국제사회복지 전문가를 양성시키고 있다.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2012년판 ‘사회복지학교과목지침서’에 국제사회복 지론을 포함시켰다. 비법정과목인 국제사회복지론을 지침서에 포함시킴으로서 사회적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지침서에 맞는 교재는 아직 없기에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재는 3권이다. Lynne M. Healy의 국제사회복지는 국제 복지정책을 강조하고, David Cox & Manohar Pawar의 국제사회복지실천은 실 천을 강조했다. 김동수 등이 쓴 국제사회복지는 정책과 실천을 균형있게 다루었 다. 국제사회복지학이 정립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복지론이란 총론, 국제사회복지 실천, 국제사회복지정책, 국제사회복지현장실습 등이 체계적으로 구안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빈곤, 개발, 난민, 아동노동 등 특정한 이슈 다룬 교재들과, 영유 아보육, 아동학습지도, 청소년활동, 지역복지 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습득해야 할 것이다.

1. 서 론 2. 대학교에서 국제사회복지 교육 실태 3. 국제사회복지론 지침서 개발 4. 국제사회복지론 교재 개발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