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민청소년학회가 이론적, 실제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모델과 고품격 민주주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공감대 확산에 주력해야 한 다. 그것은 시민 청소년의 개념과 시민적 참여와 기여, 그리고 청소년 정책의 평 가와 대안에 대한 이정표를 제공해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념적 대립이나 정치적 논쟁의 소용돌이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리고 한국시 민청소년학회는 시민청소년이 대면하고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한 냉엄한 통찰 과 주도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시민이라는 개념과 민주주의의 내적 동력원으 로서의 시민교육은 필연적으로 권력의 구조나 시대적 조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시민청소년들의 의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경 험의 장이 되기도 하고 한국시민청소년학회의 연구와 적용에 디딤돌이 될 수도 있고 걸림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I. 논의의 과제 탐색
II. 시민청소년학의 이론적 토대로서의 민주주의와 고품격 민주 공동체
III. 사회적 환경의 냉엄한 통찰과 엄정한 대응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