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진전과 시민사회 형성, 인터넷 보편화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적 발언과 참여, 결사체 형성과 행동, 인권 활동 등과 같은 새로운 청소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청소년 현상은 청소년의 존재가 행동주의자, 디지털 유 목시민, 주권자, 정책투입자, 공론 생산자로 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청 소년 현상과 청소년 존재의 성격 변화는 오늘날 청소년이 시티즌십을 가진 시 민청소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런 시민청소년에 대해서 포괄적 성격을 가지 는 기존의 청소년학에서는 심층적이고 과학적인 탐구를 하는 데 한계를 지닌 다. 새롭게 대두하고 있는 시민청소년 현상에 대해 과학적이고 심층적인 탐구 를 위해서는 시민청소년 관점을 지닌 청소년학, 즉 시민청소년학의 모색이 필 요하다. 시민청소년 관점이란 청소년을 시민으로 인정하고 시민청소년 개념을 중심으로 청소년에 대한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등을 일관성 있게 학문적으로 정립하자는 시각이다. 이런 시민청소년 관점은 기존의 청소년학계의 연구에서 도 단편적이긴 하지만 부분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시민청소년 현상을 집중적이 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시민청소년학은 규범으로서 학문, 과학으로서 학문, 실천으로서 학문의 성격을 지닌다. 이것들이 삼위일체 된 것이 시민청소년학이 지만, 이 중 핵심은 과학으로서 시민청소년학이다. 규범으로서 시민청소년학 은 시민청소년학의 가치론, 목표론, 윤리론 등을, 과학으로서 시민청소년학은 청소년 시민역량론, 시민참여론, 시민권론, 시민의식론 등을, 실천으로서 시민 청소년학은 시민청소년 정책론과 제도론, 시민교육론, 시민운동론, 지도자론 등을 구체적인 탐구영역으로 한다.
I. 여는 글
II. 시민청소년학의 전제로서 청소년 존재에 대한 이해
III. 시민청소년 관점
IV. 청소년학계의 연구 경향
V. 시민청소년학의 필요성과 체계 탐색
VI. 맺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