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28.jpg
학술저널

시민청소년 관점에서의 청소년학 탐색

  • 133

민주주의 진전과 시민사회 형성, 인터넷 보편화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적 발언과 참여, 결사체 형성과 행동, 인권 활동 등과 같은 새로운 청소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청소년 현상은 청소년의 존재가 행동주의자, 디지털 유 목시민, 주권자, 정책투입자, 공론 생산자로 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청 소년 현상과 청소년 존재의 성격 변화는 오늘날 청소년이 시티즌십을 가진 시 민청소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런 시민청소년에 대해서 포괄적 성격을 가지 는 기존의 청소년학에서는 심층적이고 과학적인 탐구를 하는 데 한계를 지닌 다. 새롭게 대두하고 있는 시민청소년 현상에 대해 과학적이고 심층적인 탐구 를 위해서는 시민청소년 관점을 지닌 청소년학, 즉 시민청소년학의 모색이 필 요하다. 시민청소년 관점이란 청소년을 시민으로 인정하고 시민청소년 개념을 중심으로 청소년에 대한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등을 일관성 있게 학문적으로 정립하자는 시각이다. 이런 시민청소년 관점은 기존의 청소년학계의 연구에서 도 단편적이긴 하지만 부분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시민청소년 현상을 집중적이 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시민청소년학은 규범으로서 학문, 과학으로서 학문, 실천으로서 학문의 성격을 지닌다. 이것들이 삼위일체 된 것이 시민청소년학이 지만, 이 중 핵심은 과학으로서 시민청소년학이다. 규범으로서 시민청소년학 은 시민청소년학의 가치론, 목표론, 윤리론 등을, 과학으로서 시민청소년학은 청소년 시민역량론, 시민참여론, 시민권론, 시민의식론 등을, 실천으로서 시민 청소년학은 시민청소년 정책론과 제도론, 시민교육론, 시민운동론, 지도자론 등을 구체적인 탐구영역으로 한다.

I. 여는 글

II. 시민청소년학의 전제로서 청소년 존재에 대한 이해

III. 시민청소년 관점

IV. 청소년학계의 연구 경향

V. 시민청소년학의 필요성과 체계 탐색

VI. 맺는 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