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오늘날 시대의 흐름이 된 청소년의 참여와 발언, 에너지와 활동 이 사회발전과 민주주의 성숙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시민 역량이 기본 이 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청소년과 시민의 관련성, 청소년 시민 역량의 의미와 내용, 강화 방안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 년과 시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시각은 크게 ‘시민으로서(being) 청소년’과 ‘시 민됨으로서(becoming) 청소년’으로 구별할 수 있으나, 양자는 상호 분리되고 순 차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고 병렬적이고 순환적인 관계에 있다. 시민 개념 은 논쟁적이긴 하지만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지위(권리)와 역할(의무)를 가 지고 공동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공동체는 국 가를 대표로 하는 정치공동체 외에도 문화 공동체, 지구 공동체, 사이버 공동체 등과 같이 다양하다. 따라서 오늘날 시민은 단일 유형이 아니라 다양한 유형으 로 존재하고 이에 따라 시민 역량도 다차원성을 가지게 된다. 시민 역량은 자유 주의와 공동체주의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지만,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대부분이 자유주의를 배경으로 한 지나친 개인주의, 쾌락주의, 사익 절대시 등 에 의해서 파생되었다는 점에서 청소년의 시민 역량 강화와 관련해서는 공동체 주의 시민역량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 관점에서 시민 역량을 정의하면, 시 민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를 바탕으로 공공선을 실현하 고 공동체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인 참여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시민 역량의 내용은 시민이 살고 있는 다양한 사회 특성에 의해서 구체화되기 때문에 다중 시민 역량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다중 시민 역량은 청소년의 성장 에 따라 동심원적으로 확대되고 심화된다. 이와 같은 시민 역량을 강화하기 위 해서는 시민 역량의 4가지 요소인 지식, 기능, 가치․태도, 참여․행동이 참 여․행동능력을 중심으로 균형 있게 병렬적으로 함양되어야 한다. 청소년의 시 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청소년 정책,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연수, 청소년 현장의 실천, 지역사회 측면에서 청소년 시민 역량 강화 방안이 모 색되어야 한다.
I. 문제제기
II. 청소년과 시민
III. 청소년 시민 역량의 개념과 내용
IV. 청소년 시민 역량 강화 방안
V. 맺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