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55.jpg
KCI등재 학술저널

退溪孟子釋義의 해석학적 특징

  • 84

본고는 退溪李滉(1501~1570)의 孟子釋義를 통하여 그의 孟 子해석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그 해석학적 특징을 분석할 때 는 주로 朱熹(1130∼1200)의 孟子集註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하 였고, 아울러 중국의 맹자해석사상 비교적 대표적이고 영향력이 큰 東漢趙岐(108∼201)의 孟子章句와 淸代焦循(1763∼1820)의 孟子正義를 참고하였다. 중국의 고대 도서목록서중에서 ‘釋義’라는 서명을 가진 經書가 처음 출현하는 곳은 隋書․經籍志와 舊唐書․經籍志 등이다. 이러한 중국의 ‘釋義類’ 서적들이 언제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영향 을 끼쳤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다만 퇴계가 중국의 正史 등의 문헌들을 보지 않았을까하는 추측만 가질 뿐이다. 『孟子釋 義』는 우리말과 한자를 혼용하여 기존의 잘못된 현토와 언해에 대한 퇴계의 해석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釋義는 일반적으로 口訣과 諺解의 중간단계로 인식되고 있으며, 전 체문장에 대한 諺解가 아니라 난해한 字句에 대해 우리말로 풀이 한 諺解解釋과 漢文으로 評說을 붙인 漢文解釋이 공존하고 있다. 본고에서 맹자석의는 퇴계가 53세~55세 사이에 저술한 것으 로 보았으며, 이후 정식출판은 하지 않고 서원에서 강독을 통하여 여러 차례 수정을 한 것으로 보았다. 이런 강독과정을 통하여 문 인들이 베껴서 보관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후 임진왜란 때 퇴 계의 手稿本이 遺失되어 1609년에 정식으로 간행될 때 문인들의 傳寫本이 그 토대가 되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본고에서는 퇴계의 맹자에 대한 해석학적 특징을 다섯 분류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첫째, 字句의 懸吐와 諺解, 둘째, 字義의 解 釋, 셋째, 文勢와 語勢에 따른 解釋, 넷째, 引用文인 “曰字”에 대한 辨釋, 다섯째, “更詳之”에 대한 辨釋등으로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퇴계는 맹자의 원문에 주의를 기울이 면서 주희의 맹자집주의 해석을 받아들인 부분도 있고, 또 주희 의 해석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1. 머리말

2. 孟子釋義의 간행과 체제

3. 孟子해석의 방법과 특징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