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55.jpg
KCI등재 학술저널

退溪病痛論에 비추어 본 讀書法의 意義

  • 14

退溪全書에는 ‘병통’이라는 단어가 많이 나타난다. ‘병통’에 대 한 퇴계의 논의, 즉 퇴계 병통론으로는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揠苗助長論․思慮紛擾論․無覺不輟論․鶻圇呑棗論․反涉私意論이 그것이다. ‘알묘조장론’에서는 下學上達을 처방책으로, ‘사려분요론’ 에서는 ‘主靜持敬’을 처방책으로, ‘무각불철론’에서는 ‘涵養體察’을 처방책으로, ‘골륜탄조론’에서는 ‘剖析渾全’을 처방책으로, ‘반섭사 의론’에서는 ‘熟讀精思’을 처방책으로 제시한다. 병통론을 살펴보면, 한결같이 병통을 통해 처방책을 제시한다. 왜 이렇게 하는가? 병통을 내세워 처방책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고 본다면 부족하다. 모든 儒者가 자신의 병통을 치유해야 한다고 했으니, 병통 지적과 처방책 제시를 통해 天理의 체인과 上下질 서의식의 확립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겨냥한다고 해야 옳을 듯하 다. 이렇게 보니, 병통론의 思想的範疇가 무엇인지 드러난다. 철 학적으로는 理學의 範疇에, 정치적으로는 王道思想의 範疇에 속한 다는 점이 그것이다. 병통론을 기준으로 할 때, 독서법의 형태는 두 가지이다. 병통론 이 전혀 이입되지 않은 경우와 병통론이 한두 번 이입된 경우가 그것이다. 퇴계는 설득력을 부여할 필요가 없는 때는 병통론을 이 입시키지 않고, 설득력을 조금이라도 발휘해야 할 때는 병통론을 한 번 혹은 두 번 이입시킨다. 병통론이 이입된 독서법은 적지 않 은 의의를 지닌다. 辨證法的論理構造를 지닌다는 점과 聖人의 境 地에 오르는 秘訣을 제시한다는 점은 빼놓을 수 없는 의의가 된다.

1. 問題提起

2. 主要病痛論의 樣相

3. 病痛論의 範疇와 機能

4. 病痛論이 移入된 讀書法의 意義

5.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