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56.jpg
KCI등재 학술저널

退溪詩에 나타난 道學的性格과 形象

  • 79

퇴계 이황(1501~1570)은 조선 시대 도학자로서 생애가 연보, 행 장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제자들이 기록한 언행록에 학문태 도, 교육방법, 예의 실천, 사제우의가 잘 나타나 있어 학술 논문에 서는 언급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이황은 2330 수의 시를 지어 도학자이면서 시인이다. 이 시들은 문집에 실려 있는데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형식도 다양하고 내용이나 소재면에서도 다양하다. 詠物詩, 梅花詩. 說理詩, 和答詩 卽事詩, 詠懷詩가 주축을 이룬다. 題畵詩, 輓詩. 四言詩, 六言詩, 醉 夢詩, 社會詩, 憂國詩, 詠史詩, 紀行詩, 樂府詩는 부분적이긴 하지 만 전체시에서 뺄 수 없을 만큼 중요하다. 유형이 다양하기에 지 금까지의 연구도 그만큼 다양하다. 이 시들의 근원과 배경이 되는 것은 도학사상이다. 따라서 이황 의 시는 도학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도학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에 감흥이 적고 낭만적인 면이 적게 나타나 있다. 대신에 도덕과 학문, 정심, 수신을 강조했고, 격물과 치지를 작품에 함융시켰다. 이황 자신도 “나의 시는 고담하여 남들이 그리 좋아하지 않는 다,”라고 하여 세인들이 좋아하고 세인들의 흥미와 즐거움만 추구 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제자들이 지은 시를 보고, 표현이 아름 답고 생각이 뛰어난 것이라도 도덕과 학문이 함축되지 않으면 좋 은 시가 되지 못한다고 했다. 이황은 매화시, 영물시, 술회시를 지을 때 도학적 요소를 형상할 의도가 없이 자신의 느낀 바를 읊었지만 자연스럽게 도학적 요소 가 함께 투영된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그 양상은 작품마다 다르 다. 소재, 주제에 따라 도학이 함축된 농도도 다르다. 도학의 수행 덕목을 주제로 읊은 시나 사물의 이치를 밝힌 시에서는 농도가 짙 다. 반대로 기행시나 영사시와 같은 목적시에서는 농도가 얕다. 도 학적 요소를 시적 형상화할 목적으로 쓴 작품에서는 성현의 말이 나 고사를 시어로 활용했다. 이의 활용과 시적 형상은 시의 의미 를 넓고 깊게 이해하도록 하는 구실을 한다. 다라서 퇴계의 시는 일반인의 시와 달리 전편의 밑바탕에 도학 적 요소가 배여 있다. 자연을 즐기며 완상하는 정감적인 면이 있 으면서도, 항상 도학을 떠나지 않은 이성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다만 그 도학적 형상의 층위는 작품마다 다르다.

1.서언

2. 퇴계시의 실상과 유형

3. 퇴계시에 나타난 도학적 성격

4. 퇴계시에 나타난 도학적 형상

5.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