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57.jpg
KCI등재 학술저널

퇴계의 성학십도와 즙산의 성학종요 비교연구

  • 19

이 논고에서는 조선 성리학과 중국 明代사상사에서 大儒로 평가되는 퇴계와 즙산의 대표적 학술용어인 ‘聖學’이라는 개념에 관하여 주목하고, 각각의 저작 성학십도(퇴계)와 성학종요(즙산)를 의론의 단서로 삼 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퇴계의 성학십도에서 ‘성학’은 주자학의 핵 심을 일컬으며, 그것을 10개의 圖[그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반해 즙 산이 말하는 성학종요에서의 ‘성학’은 송명대 학술사의 핵심을 일컬으 며 주왕 절충학적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고, ‘종요’란 으뜸가는 요점 혹은 정통의 핵심을 의미하였다. 그래서 본문의 첫 번째에서는 두 저작을 비 교하기 위해 우선 퇴계 성학십도의 저술 의도와 구조적 특징을 살펴 보고, 이어서 즙산의 성학종요에 관하여 그 편찬 의의 및 구조적 특징 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퇴계의 경우는 철저하게 중국 주자학적 견해에 근거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하고 새로운 주자학적 학술 체계(성학 체계) 를 재구성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즙산의 경우는 비록 주자학적 견해에 근거하면서도 양명학의 창시자 왕수인을 자신의 성학 체계 안에 끌어들임으로써 주왕 절충학적 학술 체계를 창안해 내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문의 두 번째에서는 이들이 각기 애용하는 ‘성학’의 의미에 관하 여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도 퇴계 ‘성학’의 의미가 변함없이 敬을 중시한 주자학적 의미로서 사용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즙산의 ‘성학’ 애용은 ‘主靜’과 ‘愼獨’으로 귀결되는 주왕(朱王) 절충학적 의미로서 사용되었다 는 것을 의론하였다.

1. 들어가는 말

2. 성학십도와 성학종요

3. ‘성학’의 의미에 관하여

4.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