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58.jpg
KCI등재 학술저널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 57

이 논문은 退溪李滉(1501~1570)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도산서당의 터를 잡기위해 산수의 공간을 애써 찾았다. 퇴계는 朱熹의 무이정사잡영 을 전범으로 하여 도산잡영 을 지었다. 그가 도산의 경관을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공간감각 의 미의식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그는 그토록 꿈꾸어 오던 도산서당을 짓고 아름다운 경관들을 설정하였다. 그는 경관을 설정할 때마다 7언으 로 시를 읊은 것이 총 18수였다. 거기에 더하여 좋은 경관을 만날 때 마 다 주자의 「운곡26영」에 기초하여 5언 절구 26수를 읊었다. 이렇게 총 44수의 시를 짓고 그 앞에 그 서문을 병기하였다. 이것이 본래의 陶山 雜詠이다. 이 작품은 퇴계의 공간감각의 미의식이 마음껏 발휘된 예술 의 성이었다. 자연합일, 물아일체, 자연과 언어의 도학적 신호체계, 언어 를 통한 자연의 소통연관, 등은 그 특유의 연상법을 창조하고 있었다. 퇴계의 심미적인 형상들의 향연은 도산서당 곳곳에 펼쳐져 있다. 온유돈 후와 고담, 충담소산, 청신쇄락한 소쇄의 미의식이 공간감각의 미의식과 교융되어 졸박한 미감을 발하고 있다. 퇴계의 陶山雜詠에는 다양한 공 간감각의 미의식이 심오하게 함의되어 있었다.

1. 문제의 제기

2. 퇴계의 생애와 陶山雜詠의 형성 배경

3.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분석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