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64.jpg
KCI등재 학술저널

「陶山十二曲」을 통해 본 退溪의 音樂觀 - 「도산십이곡발문」과 「도산십이곡」 <언지>의 노래를 중심으로-

  • 173

이 글은 퇴계(退溪)가 창작한 노래인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을 바탕으로 그의 음악관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산십이 곡발문」과 퇴계의 뜻을 노래한 「도산십이곡」 &lt;언지&gt;(言志)를 중 심으로 그가 지향하는 노래관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퇴계가 지 향하는 노래관은 첫째,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고, 춤으로 표현할 수 있는 흥취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인간으 로서의 풍격(風格)을 표현해 내어야 한다는 점인데, 여기서 그의 풍격은 ①자연을 좋아함이 고질병이 되다시피 한 ‘천석고황’(泉石 膏?)’에서 찾을 수 있고, ②퇴계가 노년기를 맞이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남은 생애를 허물없이 살기를 바란다는 자성(自省)과 겸허함에서 그의 정신적 고상함과 아름다운 면모를 읽을 수 있다. ③그의 풍격은 고아한 언어를 사용함으로서 드러나는데, 어느 한 구절 가벼이 쓴 말이나 현란한 것이 없고, 일상의 말이면서 참된 의미전달에 충실한 용어의 활용에서 느낄 수 있다. 계속해서 퇴계 가 지향하는 노래관 세 번째는 타인과 사회, 만물과의 융화와 화 해를 위한 것이며, 네 번째로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것이 퇴계가 지향하는 노래관이다. 퇴계는 그 스스로가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넉넉한 인정을 갖을 수 있는 노래’[溫柔敦厚]를 불렀으며, 많은 사람들의 마음도 이와 같이 변하기를 희망하였다. 퇴계의 삶의 행보는 철학적, 문학적, 정치적, 교육이라는 영역을 초월하여 어쩌면 음악이라는 대중의 예술체계에서 그의 학문적이고 인간적인 면모의 총체성을 읽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예술, 특히 음악관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인류가 지향해야할 목표를 뚜렷이 제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뿐 만 아니라, 퇴계학의 세계화를 위한 우리의 자산이 될 것이라 확 신한다.

1. 퇴계의 음악관을 살피려는 이유 2. 「도산십이곡」의 음악론적 배경 3. 「도산십이곡」 &lt;언지&gt;의 내용과 성격 4. 「도산십이곡발문」과 &lt;언지&gt;에 나타난 퇴계의 노래론 5. 맺는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