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65.jpg
KCI등재 학술저널

도산서당(陶山書堂)의 입지(立地)와 도산서원(陶山書院)의 배치(配置)에 대한 고찰

  • 480

퇴계는 일평생 수차례에 걸쳐 삶 터를 직접 택지(擇地)하여 이 거(移居)하면서 생활하였는데, 이거의 이유는 자신에게 보다 적합 한 자리를 구하기 위함이었다. 퇴계가 마지막으로 복거(卜居)하고 대단히 흡족해 하면서 그의 말년을 보낸 곳이 바로 도산서당이다. 따라서 도산서당의 입지를 고찰해 보는 것은 퇴계의 사유의 일면 을 엿볼 수 있기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도산서당의 영건(營建)과정과 그 이전의 복거(卜居) 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리고 도산서당의 입지(立地)를 이 중환이 『택리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복거의 요건과 비교 고찰하 였고, 도산서당을 포함한 도산서원의 배치에 대하여 최초의 서원 인 소수서원의 배치와 더불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산서당의 영건과정은 금난수의 도산서당영건기사(陶山書堂營 建記事) , 퇴계의 도산잡영병기(陶山雜詠幷記) 그리고 권오봉의 퇴계가년표(退溪家年表) 에 잘 나타나 있다. 도산서당의 터는 문 하(門下)인 금응훈 등의 의하여 수차례에 걸친 건의를 받아서 퇴 계가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복거한 곳으로 퇴계는 이 터를 구한 것에 대하여 매우 흡족해 하였다. 그리고 옥사도자(屋舍圖子)라는 건축 설계 도면과 더불어 여러 경로를 통하여 건물의 배치와 구조 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하면서 영건과정에 지속적으로 깊은 관심 과 애정을 나타내었다. 도산서당의 입지는 도산잡영병기 에 나타 있는 내용을 이중환 이 『택리지(擇里志)』에서 제시하고 있는 복거의 요건과 비교하 여 살펴보았는데, 도산서당의 입지가 이중환이 복거의 요건으로 강조하고 있는 지리(地理)의 요건에 매우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산서원은 도산서당이 먼저 입지한 후에 퇴계 사후에 건립되었 고, 강학(講學) 기능을 중시한 퇴계의 평소 뜻을 받든 강당 중심의 양택(陽宅)중심 서원이며, 반면에 소수서원은 안향(安珦)을 제향 (祭享)하기 위하여 문성공묘(文成公廟)를 먼저 건립하고 이후에 강 학 기능을 부가한 사묘(祠廟) 중심의 음택(陰宅)중심 서원이기에 배치에 있어 상반된 특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강학 중심의 도 산서원은 퇴계의 상징적 공간인 도산서당을 기준으로 하고 각각의 건물들은 좌상우하(左上右下)의 원칙과 고상저하(高上底下)의 원칙 에 맞추어 배치를 하였고, 제향중심의 소수서원은 문성공묘를 기 준으로 하고 모든 건물들이 우상좌하(右上左下), 전상후

Ⅰ. 머리말 Ⅱ. 도산서당의 입지와 도산서원의 배치에 대한 고찰 Ⅲ.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