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68.jpg
KCI등재 학술저널

儒學思想의 內面性 展開過程에 관한 小考

  • 11

이 논문은 유교사상의 내면성(내면적 도덕가치)이 어떻게 사상적으로 연계성을 가지고 전승되었는지를 도통론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서술하고 자 하였다. 유교에는 유교의 내면성(내면적 도덕가치)의 전승과정을 계보 적으로 정리한 ‘도통론(道統論)’이 있다. 도통론은 요(堯)ㆍ순(舜)으로부 터 유교의 여러 주요한 사상가들을 통해 내려오는 도통의 계보가 유교의 정통적인 내면적 도덕가치의 전승이라고 주장한다. 도통론은 선종(禪宗) 의 법사(法嗣) 관념에서 유래되었다는 오해도 있으나, 맹자-한유-주자 등을 거쳐 이루어진 중국 유교의 고유한 개념이다. 도통론이 유교의 내면적 도덕원리 전승의 계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도통론에 관한 연구 는 도통의 계보를 구성하는 인물들 사이의 전승을 사상적 연계성을 가지 고 설명하는 것이 부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간략하게나마 공자-증자- 자사-맹자-송대 신유학에 이르는 도통의 계보를 그 사이의 사상적 연계 성을 가지고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자의 인 (仁)은 증자(曾子)에 의하여 충서(忠恕)라는 정신적 원리로 이해ㆍ전승되 고, 그 정신적 원리가 자사(子思)에 이르러 성(性)의 개념으로 심화되었 다. 자사의 사상을 이어받은 맹자는 진성지천(盡性知天)의 사상을 주장하 였고, 맹자 이후 한당(漢唐)시대에는 내면적 탐구가 중단되었으나 송대 (宋代)에 이르러 다시 내면적 추구가 계승되어, 리기철학의 이론이 성립 되고 정신적 원리로 경(敬)사상이 전개되었음을 서술하였다.

1. 들어가는 말 2. 내면성의 전승과정 1) 도통론(道統論)의 성립과 내용 2) 증자(曾子)의 충서(忠恕) 3) 자사(子思)의 중화(中和) 4) 맹자(孟子)의 진성지천(盡性知天) 5) 송유(宋儒)의 거경궁리(居敬窮理) 3.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