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68.jpg
KCI등재 학술저널

朱熹와의 聯關속에서 본 栗谷 修養論의 特徵

  • 55

율곡의 수양론은 전반적으로 볼 때 대체로 정·주 성리학을 기반으로 전 개된다. 그러나 특정된 범주와 논리에서는 주자보다 면밀하고 구체적이며 일관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는 율곡 수양론의 특징이며, 주자 성리학에 대한 보완내지 발전이라고 하겠다. 본 논문은 주자와의 연관성 속에서 율 곡 수양론의 특징을 立志, 復其氣, 務實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立志에 대한 중시는 율곡과 주자의 공통된 특징이다. 그러나 입지에 대한 중요성 강조에서 율곡은 입지를 모든 실천행동의 최우선으로 삼고 기질변화의 전제조건으로 상승시켰다. 또한 立志와 誠意를 유기적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뜻을 세우는 관건이 誠意에 달렸다고 하면서 立志를 誠意의 범주 속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는데, 주자는 이와 달리 居敬의 범 주 안에 立志를 포함시킨다. 이것이 주자와 다른 율곡의 특징이라고 하 겠다. 율곡은 기질변화를 본성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인식한다. 율곡은 선유 들이 주장하는 '復其性'보다는 '復其氣'를 修己의 내용으로 삼는다. 주자 가 본성의 회복을 知的인 마음공부를 통하여 이룩하여야 한다는 논리보 다는, 율곡은 이기지묘의 입장에서 '復其氣'의 과정과 '復其性'의 과정은 통일된 도경이라는 논리 속에서 복기기 즉 기질변화를 통한 본성의 회복 을 주장한다. 이는 주자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문제의 근본을 파악하고 실천한다는 점에서 務實的 특징이 농후하다. 율곡은 주자에 비해 實心을 더욱 강조하고, 實心을 가지고 實功을 하 여 實效를 거두는 務實的 수기론을 전개한다. 이는 율곡의 현실에 직면 하여 실질적인 것을 행하려는 실천철학의 특징이 수양론에 그대로 반영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무실정신은 율곡 성리학의 전반에 관통되며, 후세 실학의 기초가 된다. 율곡 성리학은 전통적인 유학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지만, 그 이론 전개나 논리 면에서 선유들을 초과한 율곡만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 는 율곡철학의 특징이면서도 나아가 한국 성리학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1. 들어가는 말 2. 立志: 修己의 조건 3. “復其氣”: 修己의 내용 4. 務實: 修己 方法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