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0.jpg
KCI등재 학술저널

退溪 理氣互發說의 비판적 고찰

  • 52

본 논문은 退溪 理氣互發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담고 있다. 퇴계의 리기호발설은 고봉과의 사칠논변 속에서 ‘四端은 理가 發하여 氣가 따르는 것이고, 七情은 氣가 발하여 理가 타는 것’이라는 퇴계의 최종입장을 두고 ‘퇴계는 理와 氣가 각각 발한다고 주장하였다’는 것이 요지이다. 그러나 퇴계가 리기호발설을 주장하였다는 것은 율곡의 언급 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 과연 율곡이 퇴계를 보는 관점에 따라 리기호발 로 단정 지을 수 있는지, 또 리기호발은 二元論일 텐데 퇴계가 과연 이 원론적 사유체계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오늘날 퇴계가 리기호발을 주장했다는 연구의 대부분은 고봉 이 퇴계를 이해하였던 방식인 ‘對說ㆍ因說 이해방식’을 크게 벗어나고 있 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퇴계가 스스로 ‘리기호발’을 주장하였는지, ‘이원론’ 을 추구하였는지를 먼저 살펴볼 것이다. ‘리기호발’은 고봉과의 사칠논변 에서 ‘리기호발’의 ‘互’자의 사용용례를 살펴보아도 고봉이 최초로 여러 차례 언급한 뒤에야 퇴계가 받는 말로써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리기호발’은 이원론일 텐데 퇴계는 결코 이원론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퇴계사상의 전반을 살펴보아도 퇴계는 一元論적 사유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퇴계는 인간의 선한 본성의 발현인 감정 역 시도 선할 뿐이며 악한 감정은 없다는 ‘理發氣隨’의 입장이었으며 악한 감정은 실제로 존재하는 개념이 아닌 사유 속에서의 ‘착각’이었음을 ‘氣 發理乘’의 개념으로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퇴계가 사칠논변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선한 본성의 발현인 감 정은 생동하는 우리 마음의 알맹이며, 감정의 올바른 이해가 바로 학문 의 즐거움’이라는 것이다.

Ⅰ. 들어가는 말

Ⅱ. 理氣互發說의 개요

Ⅲ. 理氣互發說 硏究의 의문점

Ⅳ. 퇴계의 감정 이해방식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