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1.jpg
KCI등재 학술저널

敬의 철학과 理의 철학 - 退溪 居敬窮理論의 이해 -

  • 98

退溪의 철학은 ‘理의 철학’ 혹은 ‘敬의 철학’으로 특징지어진다. 존재 론·인식론적으로는 치밀한 理의 철학을 구축했으며, 공부론에서는 動靜 을 관통하고 內外를 합일하는 敬의 철학을 세웠다고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퇴계의 敬철학과 理철학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이 퇴계의 철학체 계 내에서 어떠한 일관된 의미를 가지는지 해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퇴계의 학문은 철두철미 聖學에 집중되어 있는 求仁成聖의 爲己之學 이다. 따라서 퇴계의 공부론 또한 일상에서의 下學上達의 부단한 공부를 통해 聖人이 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성인은 天人合一을 이루어 誠을 체화한 사람으로서 그 마음의 體는 리와 하나 되어 있으며[心與理 一], 그 마음의 用은 희노애락의 情이 발하여 항상 중절을 이루고 있는 [致中和] 사람이다. 퇴계의 理氣論과 四端七情論은 이 心與理一과 致中和의 원리를 탐구하여 밝힌 것이고, 居敬窮理의 공부론은 바로 이러한 이론을 실질적으로 체화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心與理一과 致中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첫째, 외부 사물을 있는 그 대로 오류 없이 인식하는 인식의 틀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 방면의 공 부가 궁리공부이며, 둘째, 성의 발현이 왜곡 받지 않도록 심신을 수양하 는 것이 필요한데 이 방면의 공부가 거경이다. 그리고 이 두 공부를 통 해서 理가 마음의 주인자리에 놓이게 된다. 퇴계가 거경공부와 궁리공부 가 양 날개나 양 다리처럼 서로 다른 방향의 두 공부이면서도 서로 首尾 一貫된 공부라고 했던 까닭이 여기에 있다.

Ⅰ. 들어가는 말

Ⅱ. 退溪의 聖學的 人間觀과 工夫論

Ⅲ. 居敬窮理의 의미와 방법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