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퇴계 이황의 성리학 관련 저술 활동에서 주목할 것은 『주자서절요』와 『송계원명이학통록』(『이학통록』)이다. 『주자서절요』는 10년 이상 이루어 진 퇴계의 『주자대전』에 대한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셈이다. 그리고 ?주 자서절요?의 편찬을 완료하고 나서 3년 후에 퇴계는 『이학통록』의 편찬 에 착수한다. 이러한 작업을 하나의 연속되는 과정으로 본다면, 『주자서 절요』는 주자의 편지글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일차원적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며, 『이학통록』은 성리학의 계보까지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다차원적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이학통록』이 미완성의 상태로 전해지게 되었 다는 점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여기서는 특히 퇴계의 ?이학통록서?와 그의 제자 월천 조목의 ?이학 통록발?을 주요한 기본 자료로 삼아서 논의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퇴계 는 『이학통록』을 편찬한 목적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주자의 문인들이 어떠한 사람인가를 알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道學의 요체를 밝 히기 위해서이다. 셋째는 주자가 僞學으로 탄압받는 상황에서도 배움을 청하여 주자의 가르침이 드러나도록 한 공을 기리기 위해서이다. 월천은 ?이학통록발?을 통해서 『이학통록』의 기본적인 구성 상태와 간행 동기, 초기 간행 경위 그리고 수정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하였다. 아울러 『이학 통록』의 내용과 관련해서 몇 가지 보충설명을 덧붙였는데, 이것은 미완 성의 상태로 남겨진 것에 대한 아쉬움, 달리 말하면 『이학통록』의 한계 점을 지적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학통록』은 퇴계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조선조의 여러 대표적인 유 학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조선조의 학 술사에서 『이학통록』이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1. 여는 글
2. 『송계원명이학통록』의 편찬에 영향을 끼친 저술
3. 『송계원명이학통록』의 기본 구성체제와 수록 인원수에 대한 분석
4. 퇴계 이황의 ?이학통록서?를 토대로 한 『송계원명이학통록』에 관한 분석
5. 월천 조목의 ?이학통록발?을 토대로 한 『송계원명이학통록』에 관한 분석
6. 맺는 글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퇴계언행록』의 형성과정과 제자들의 ‘퇴계’ 인식
- 유교자본주의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書簡 중심의 문집 출현과 『退溪集』 ― 『退溪集』 諸 異本에 대한 한 고찰 ―
- 退溪 李滉의 敎學精神과 詩世界
- 퇴계 역학 문헌의 상수·의리학적 특성과 미래적 연구방향
- 退溪와 南冥의 讀書論 비교
- 敬의 철학과 理의 철학 - 退溪 居敬窮理論의 이해 -
- 退溪의 道統論과 그 의미
- 임진왜란시기 義兵倡義의 사상적 배경 ? 慶北永川 復城戰鬪를 중심으로
- 退溪의 西銘考證講義에서 乾坤父母 硏究
- 퇴계 이황의 『송계원명이학통록』에 대한 기초적 분석
- 退溪 文集의 정본 편성 과정에 대한 일 고찰 - 惺齋手筆 『退溪先生書』에 수록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 퇴계 예학 관련 문헌자료의 전개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