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1.jpg
KCI등재 학술저널

퇴계 역학 문헌의 상수·의리학적 특성과 미래적 연구방향

  • 84

본 논문은 국내외에 현존하는 퇴계 이황(李滉1501∼1570)의 역학 문 헌 판본의 현황을 그 형식적 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서지사항을 살펴보고 나서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개관하고 이를 통하여 퇴계 역학에 관한 미래적 연구 방향을 전망해 보았다. 『啓蒙傳疑』와 『三經釋義』 중 『周易釋義』는 퇴계역학의 핵심을 이루는 저술이다. 『계몽전의』 와 『주역 석의』 판본은 전국의 대학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한국 학중앙연구원장서각 등 정부 및 여러 학술 기관에 산재해 있다. 그 구체 적 형식과 내용은 판형, 발행사항, 특기사항, 지질, 소장처 등으로 살펴 볼 수 있다. 퇴계 역학사상을 연구하는 데 핵심 문헌으로서 『계몽전의』 판본은 간행지역, 시기, 간행자, 소장처, 紙質, 그리고 각각의 판본의 고유한 특징 등에서 매우 다양한 양태로 국내외의 여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계몽전의』 와 『주역석의』에 대한 여러 연구논문은 각각 일정한 특성 을 가지고 있다. 『계몽전의』에 대한 연구 논문들은 부분적으로 의리역학 과의 상관관계를 언급하면서도, 대체로 상수역학적 관점과 특성을 강조 하고 있다. 반면 『주역석의』에 관한 연구 성과들은 대부분 이 저술이 의 리역학적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퇴계의 역학에 관한 연구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주역』의 구 성요소인 상과 의리가 성리학의 토대가 되는 그의 역학에서 어떤 상관적 의미로 작용하는가에 대하여 착안하는 일이다. 다시 말하면 퇴계는 『주 역』의 상과 의리를 결합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사이에 연관되어 있는 必 然과 當然의 세계를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퇴계 역학에 관한 새로운 연구의 방향은 조선 성리학의 이기론과 심성 론, 그리고 실천론을 한 단계 심화된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과 의리 사이의 연결 맥락을 통하여 탐색하는 것은 퇴계 역학을 연구 하는 미래적 방향이라 할 수 있다.

1. 서론

2. 退溪 역학문헌 판본의 종류와 형식

3. 退溪 역학 문헌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

4. 상수?의리역학적 특성과 미래적 연구방향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