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2.jpg
KCI등재 학술저널

『四書釋義』 成書 과정과 관련 자료의 書誌 분석

  • 54

본고는 1609년에 琴應壎이 편찬하여 판각한 목판본 『四書釋義』가 李 滉이 작업한 『四書釋義』와 다르다는 사실을 究明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영주 소수박물관에 소장된 필사본 『退溪庸學釋義辨吳?와 경북 대에 소장된 필사본 『退溪四書釋義?를 발굴하여 목판본 『四書釋義?와 수 록 내용을 비교하였다. 『退溪庸學釋義辨吳?는 ?退溪先生中庸釋義辨誤?와 ?退溪先生大學釋義辨誤?로 구성되어 있으며, 『中庸章句大全?과 『大學章句大全?을 풀이한 것이다. 총면수는 13면이며, 中庸 7면, 大學 6면이다. 中庸辨誤는 표제어 ‘天命之謂性’부터 ‘莫能載破’까지 『中庸章句大全?의 經文 89조목을 大字 로 제시하고, 그 아래에 小字 雙行으로 풀이를 제시하였다. 大學辨誤는 표제어 ‘先正其心’부터 ‘必察乎此’까지 『大學章句大全?의 經文 및 傳文 44조목을 大字로 제시하고, 그 아래에 小字 雙行으로 풀이를 제시하였다. 中庸辨誤의 해석 어휘는 89조이며, 大學辨誤는 44조이다. 이는 목판 본 中庸釋義가 251조, 大學釋義가 101조인 것과 차이를 보인다. 中庸辨 誤의 17조목과 大學釋義의 5조목은 목판본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또 辨誤는 이황이 애초에 작성한 中庸釋義와 大學釋義를 수정하고자 붉은색 과 검은색은 이용하여 본문을 고친 흔적이 남아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 어 辨誤는 1609년에 판각된 『四書釋義?보다 앞 시대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 목판본 『四書釋義?는 금응훈 개인의 의견이 일정 부분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李德弘의 『四書質疑?, 琴輔의 『四書質 疑? 등과 수록 내용의 정밀한 비교 검토를 필요로 한다고 하겠다.

1. 序論

2. 『四書釋義』 成書 과정과 관련 자료

1) 이황의 釋義 작업과 『庸學釋義』

2) 『退溪庸學釋義辨誤』의 발굴과 소개

3) 『退溪庸學釋義辨誤』의 분석

4) 경북대 소장 『退溪四書釋義』 소개와 분석

3. 『退溪庸學釋義辨誤』와 『退溪四書釋義』의 가치

4.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