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3.jpg
KCI등재 학술저널

퇴계의 『성학십도』로 본 인성교육의 의미와 원리

  • 602

이 글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 교육적 이슈로 떠오른 인성교육의 의미 와 원리를 퇴계 성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방법적으로 퇴계 성리학의 정수를 담은 『성학십도』 속의 인성교육에 대 한 이해를 읽고자 했다. 인성교육의 시각에서 볼 때, 『성학십도』는 인성 교육론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인성의 의미와 인성 실현의 교육 및 일상 공부의 길에 대해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저작이다. 퇴계 성리학 에서 인성은 곧 인간 본성으로서 이는 ‘성스러운’ 존재원천에 뿌리를 둔 인 및 인의예지의 본성으로 정리되는데, 이 주장을 둘러싼 본체론적, 심 성론적 논의는 <태극도>(1도), <서명도>(2도), <인설도>(7도), <심통성정도>(6도)에 충실히 담겨 있다. 다음으로 인성을 실현하는 교육의 길로 서 소학-대학 과정 및 학교교육의 비전을 드러내는데 이는 <소학도>(3 도), <대학도>(4도), <백록동규도>(5도)가 잘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삶 의 모든 일상에서 인성을 구현해야한다는 이상과 그 실천 방법에 대해, 경을 핵으로 한 마음-몸 공부론으로써 드러내는데, 이는 <심학도>(8도), <경재잠도>(9도), <숙흥야매잠도>(10도)가 잘 보여준다. 『성학십도』를 근거로 할 때, 퇴계 성리학의 입장에서 인간 본성을 구현하는 교육으로 서의 인성교육은 교육의 어느 한 부분이기보다 교육 그 자체이다. 현대 에서 흔히 인성교육을 지식교육과 대비되는 도덕교육에 국한해서 보는 관점은 편협한 것이다. 나아가 인성을 펼치는 일은 일반적 교육과정에서 만이 아니라 일상의 삶의 모든 시간과 공간에서 이루어야 할 가장 기본 적이며 최고의 교육적 과제가 됨을 퇴계 『성학십도』는 시사한다.

1. 시작하며

2. 인간 본성으로서의 인성: <태극도>, <서명도>, <인설도>, <심통성정도>

3. 인성을 길러내는 교육의 길: <소학도>, <대학도>, <백록동규도>

4. 인성 구현의 일상을 위한 경 공부: <심학도>, <경재잠도>, <숙흥야매잠도>

5. 맺으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