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3.jpg
KCI등재 학술저널

퇴계의 인성관(人性觀) ― 참자아의 각성과 실현을 주제로 ―

  • 83

이 논문은 퇴계의 인성관을 인간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는 그가 추구한 참자아와 삶의 이념을 보다 생생하게 이해하고 체감하기 위한 것 이다. 인성 교육의 내용과 방향은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만 잡힐 수 있을 것이다. 퇴계는 자아를 본래적인 것과 비본래적인 것으로 구별하면서 본 래적인 자아의 실현에 학문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을 집중하였다. 덕성은 본래적 자아에 대한 유가적 명칭이다. 퇴계는 거기에서 생명애와 의로움 과 예의와 진리의 정신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정신은 사회적 존재의 실현만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세계와 만물을 최고도로 완성하고자 하는 우주적 이상을 품는다. 퇴계의 수양론은 이러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공부 방법론에 해당된다.

1. 인성론의 인간학적 함축

2. 자아에 대한 이중적 인식

3. 덕성의 강조

1) 생명애의 정신

2) 의로움의 정신

3) 예의의 정신

4) 진리의 정신

4. 우주적 대아의 이상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