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8.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 전문직의 교육과 훈련

  • 55

박물관 전문직의 교육과 훈련에 관한 형식과 내용과 범위에 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그것의 필요성을 거부하는 사람은 없다.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서 박물관의 역할이 확장되고 박물관이 사회봉사기관이라는 개념이 발전하면서부터 박물관의 각 부 서는 콜렉션이 대표하는 다양한 학문분야에만 전문직이 국한되지 않았다. 각 부서는 전통적인 의 미에서 큐레이터들뿐만 아니라 그 부서의 보존과학자, 교육자, 전시전문가와 행정가까지 포함하게 되었고 박물관에 부여된 기능을 십분 발휘하기 위해서 P. R과 Marketing 전문가와 정보 과학 전 문가까지 고용하게 되었다. 박물관이 학제간(interdiscilinary) 그리고 다학문간(multidisciplinary) 기관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배경에서 생겨났다. 아이콤은 1972년에 박물관 교육 기본 교과과정(the Basic Syllabus)을 발표하여 이것이 각국의 대학에서 박물관학 교과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이 교과과정은 11개 단원으로 구성되는데 1)박 물관의 역사와 목적, 2)박물관의 조직과 관리, 3)박물관 건물의 설계와 시설, 4)콜렉션의 수집과 도큐멘테이션, 5)연구의 조직, 6)박물관 자료의 보존, 7)전시방법, 8)홍보(public relation)와 박물관 의 공공시설, 9)문화교육사업, 10) 확대 서비스(extension services), 그리고 11)선전(publicity) 등 이다.

Ⅰ. 문제의 전개 Ⅱ. 박물관 전문직의 훈련과 대학의 박물관학과 1. 박물관협회 2. 대학에서의 박물관 전문직 훈련 Ⅲ. 전문직의 선발, 훈련과 재직중의 훈련 1. 선발과 훈련 2. 재직중의 훈련(In-service training) 참고문헌 *부록; 레스터대학 박물관학과의 교과과목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