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

  • 309

박물판교육이란 박물관이 주체가 되어 설행히는 사회교육활동으로서 수집 ? 보존 · 천시 (전시 는 ‘전시실 내 교육’으로 박물관교육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와 함께 박물관의 주요 기능중의 하 나아다. 넓은 의미에서 박물관이 수행하고 있는 모든 활동들은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즉 생활도구, 의례용품, 그렴 , 지구과학적 표본, 역사적인 공예품 등 각종 유물의 수집 , 전시 기획 및 특별 행사 등이 박물관교육에 포함된다 좁은 의미에서의 박물관교육은 성인과 어린이 를 위한 가르침과 교육행사를 일걷는다 초기의 박물관교육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다가 차츰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어 오늘 날에는 일반대중을 의욕적으로 박물관교육으호 끌어들여 그들이 지식을 전수 받는 것은 물론 박물판에서의 활동을 즐기면서 다양한 정보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교 육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박물관 수장품을 관람객들의 요구와 흥미에 알맞게 연결시켜 주 는 일이다. 이론적으호 이 연결은 가능한 역동적이고 유연해야 한다 그러나 개별집단과 개인 들은 각기 서로 다른 욕구와 흥미를 지니고 있으며 , 따라서 동일한 수장품에 대한 설명일지라 도 대상에 따라 그 수준과 설명방식이 달라야 한다(Hooper-Greenhill , 1991 : 3). 빅L물뺀1서의 배움「은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전통적인 교실분위기에서 재현되는 방식 이 아닌 뭔가 색디흔 경험이어야 한다 그리고 박물관교육은 i영생교육이라는 기본 이념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 즉 배움은 평생을 통해 계속되며, 배움이 제도적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마한다. 박물관교육운 교육 대상자 중심의 다양하고 쉬운 방식으로 박물관 건 물 안에서는 물론 건물 바깥에서도 할 수 있어야 한다. 박물관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소이다 수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1] 와서 엄청난 경험을 체험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경험이 반드시 교육적인 것만은 아니다 경험이 교육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직접적이고 기슴 에 와 닿아야 한다.

Ⅰ. 들어가는 말 II. 우리나라 박물판교육의 역사 1 일제시대의 박물관교육 : 식민지 ‘국민교육’ 2. 해방 후 - 1976년까지의 박물관교육 : 국가 또는 민족 정체성 추구 3. 1976년 이후의 벅물관교육 : 문화주체성 찾기 Ⅲ. 박물관교육 사례분석 :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1. 국립민속박물관의 박물관교육 2. 다른 국립박물관의 박물관교육 Ⅳ. 우리나라 박물관교육의 문제점 V. 맺는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