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79.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의 농경자료 수집과 전시

  • 22

1990년대는 박물관의 등록조건 완화 등의 조치와 더불어 옆ß단위 이상의 지역을 중심으로 공립 및 사설 박물관 · 천시판의 건립이 크게 확산된 시기이다1) 많은 박물관들이 지역문화의 발굴과 보 존 · 연구 · 천시를 통한 정체성 확렵의 일환으로 농경자료를 수집하며 , 전시하고 있다. 한국문화는 농경문화의 전통을 근간으로 발달했다는 점에서 농경문화에 대한 전시는 곧 한국문화의 중요성과 특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물질자료를 위주로 기능분류 혹은 농사력에 따라 간략 한 설명판을 사용한 제시형 전시가 많은 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시는 관람자에게 농경의 물질자료에 한해 제한된 정보밖에 전달할 수 없으며, 결국 지역의 문화적 특정을 충실히 알려주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천시를 통하여 지역의 문화적 특정을 보여주지 못할 때 관람자는 서로 다른 지역의 농경에 대한 전시라고 해도 비슷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두 지역의 전시를 통하여 비슷한 정보밖에 얻을 수 없다면 관람자는 더 이상 다른 박물관의 전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으로 박물관은 무엇보다 충실한 자료조사와 수집을 통하여 지역의 농경문화가 가진 문화적 특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전시주제를 설정해야 한다. 고품질의 정보(전시주제)를 생산한 뒤 그것을 ‘어떻게 전달할 것 인가( 전시수법) ’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지역의 농경문화가 가진 중요성과 특정에 대한 충실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포 괄적이며, 정밀한 자료수집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료수집에 있어 ‘각종자료와 특정사실’ (things and facts) 과 관련된 물질적 요소는 물론 비물질적 요소를 동시에 수집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널 리 알려진 사실이다2) 그 뒤 수집자료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분석 · 해석함으로써 이를 충실히 전 달할 전시주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2차원 혹은 3차원 등 전시수법을 통하여 전시가 구현되어야 한다.

Ⅰ. 서론 Ⅱ. 농경자료의 수집 1. 농경자료의 수집범주 2. 농경자료의 수집정책 Ⅲ. 농경자료의 전시 1. 농경자료의 전시방향 2. 단락,맥락중심 전시의 적용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