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187.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의 수집정책과 소장품관리 체계

  • 306

박물관을 구성하는 요소로 물건과 사람 장소를 제시한다 1 ) 대부분의 관람객이 전시물을 보러 박물관을 찾아.2..기 때문에, 물건 중 전시물은 이들과 1차적인 의사소통 관계를 갖는 매개체이다. 이는 박물관이 소장품에서 실질적으로 존재 사실을 알 수 있는 한편, 소장품이 박물관의 중심임을 알려주는 사질이다. 박물관은 소장품의 수집 · 보존 · 조사와 연구를 거쳐서 전시가 완성된 후에 비로소 본래 모습을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다. 박물관의 활동과 기능은 궁극적으로 소장품에서 시 작되어서 끝맺는다고 보아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관람객이 박물관에 와서 즐거워야 한다거나 교 육이 중요하다는 것은 부차적인 일이다. 이들은 소장품이 제대로 정리된 이후에 진행될 박물관의 이차적인기능이다.

Ⅰ. 머리말 Ⅱ. 소장품 수집방법과 절차 Ⅲ. 소장품 보존과 관리 Ⅳ. 소장품의 체계적인 관리의미와 기대효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