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 조사연구 활동의 과제와 방향: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 150

박물관의 존재가치는 훌륭한 소장품의 보유와 전시 그리고 조사 연구 교육활동의 성과 등으 로 집약된다. 최근 박물관의 숫자가 크게 늘어가고 있고, 박물관의 활동이 대폭 확대되면서부 터 박물관의 영역은 더욱 넓어지고 세분화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소장품과 관련된 학술적인 연구나 고고역사 관련 유적 등의 조사는 필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또 특정한 테마와 연관된 전문적인 연구와 조사의 증가는 새로운 임무로 대두된다. 새로 발견된 유적 유 물의 발굴조사나 긴급구제 발굴 등의 일들도 박물관이 떠맡을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현대미술 의 경우, 새로운 미술활동의 기반이 되는 특정 이벤트에 미술관이 관여하는 것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있다. 과거 우리나라 박물관들의 조사연구 활동은 우선순위에서 전시나 교육보다 훨씬 앞서 있었 다. 이는 박물관 본연의 임무인 수집, 전시 혹은 교육보다 조사연구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던 당 시 사정에 따른 결과였다 조사연구를 전담할 전문연구기관들이 생기기 전에는 어쩔 수 없이 해당지역의 박물관이 긴급조사나 발굴을 맡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국립박물관은 해방직후 경주지역의 고분발굴 등 우리나라 고대문화의 실상을 밝히는 데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 발굴조 사를 전담하는 문화재연구소가 설립되기까지 중요한 유적의 발굴이나 긴급조사 등을 담당하여 왔다. 한편 문화재 조사가 붐을 이루었던 70년대 경주 일원에는 많은 발굴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으면 안되는 실정이었다 그 결과 많은 수의 대학발굴단이 경쟁적으로 조사에 참여하게 되었 고, 이를 계기로 대학박물관에 고고학자료가 엄청나게 집적되기 시작하였고 연구자의 수도 크 게 증가하게 되었다. 유적발굴이나 조사는 국가나 공공기관이 주도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그 성 과는 개인들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많은 개별전문가가 양산되었는데, 그동안 많은 조사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있지 못하다 . 조사 연구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빈약하다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결과의 개인독점 등으로 폐해도 늘 고 있다. 따라서 이들 모두를 국가적인 성과로 집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박물관의 조사연구는 시대상황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박물관의 역할로 볼 때, 이제는 국공립이나 대학 혹은 사립의 영역구분이 비교적

Ⅰ. 들어가기 Ⅱ. 박물관의 조사 연구활동 Ⅲ. 조사연구의 특정과 문제점 Ⅳ. 조사연구의 방향성 Ⅴ. 닫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