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247.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후기 경상도 省峴驛의 운영과 驛馬 확보-⌈省峴道驛誌⌋ 및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을 중심으로-

  • 72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확보 문 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성현도역지⌋와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이나 ⌈성현역사례(省峴驛事例)⌋ 및 ⌈성현도장계직사신정절목(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을 분석하였다. 성현도란 여러 개의 역을 묶어 관할하는 역도(驛道)체계로서 고려시대 의 전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에 소속된 역이 포함되어 무을이역(無 乙伊驛), 영안역(永安驛), 용가역(用家驛) 등 13개역이 소속되었다. 조선시 대에 이르러 역의 신설과 이역(移設) 등으로 통폐합되어 성현역·범어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역의 역사(驛舍)는 아사(衙舍) 16칸, 수월정(受月亭) 10칸, 현산루 (峴山樓) 6칸, 형지안고(形止案庫) 3칸, 창고 14칸, 창사청(倉舍廳) 6칸, 이청 (吏廳) 10칸, 양마청(養馬廳) 5칸, 고사(庫舍) 3칸, 관주(官廚) 8칸, 고사(庫 舍) 4칸, 민고(民庫) 6칸, 접빈관(接賓館) 4칸, 사창고사(社倉庫舍) 6칸,사창 사(社倉舍) 4칸, 형리청(刑吏廳) 4칸, 외양간(?養間) 5칸 등 모두 114칸 규 모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성현역의 역속(驛屬)은 일정한 역역(驛役)을 부담하며 역에 본적을 두고 있는 역인(驛人)의 총칭으로 ⌈성현도역지⌋에 따르면 역리(驛吏: 時仕) 15명, 지인(知印) 10명, 사령(使令) 10명, 관노(官奴) 12명, 관비(官婢) 9명이 배치되었다. 역마(驛馬)는 왕명 및 공문서의 전달, 사신 및 복물(卜物: 소나 말 따위 에 실어나르는 짐)의 운송 등 역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통수 단이다. 성현도속역(省峴道屬驛)은 대마(大馬). 중마(中馬). 복마(卜馬)로 나 누어 146필을 보유하였으나 순조 2년(1802) 100여필이나 감소하고 있다. 주 요 원인은 일차적으로 역마의 남기(濫騎: 절차를 밟지 않고 함부로 역마를 타는 일)와 역마가의 앙등, 마위전(馬位田)의 사상매매(私相賣買-사사로운 매매)와 豪勢家의 침탈 등으로 인해 역마를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현 도저리역가이정절목?에 의하면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울에 오가는 경주인(京主人)들의 자의적인 역마의 남기와 이병방(吏兵房) 입마전(立馬 錢)의 폐단을 들고 있다. 이러한 마폐(馬弊)의 개혁을 위해서 1)역마가 궐액 (闕額: 미리 정한 액수보다 모자람)되어 개립(改立)할 경우 결복

Ⅰ. 머리말 Ⅱ. ⌈省峴道驛誌⌋ 및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에 대하여 1. ⌈省峴道驛誌⌋의 편찬과 내용 구성 2.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Ⅲ. 省峴道의 연혁과 驛舍 구조 1. 省峴道 및 屬驛의 연혁 2. 驛舍의 건물 구조와 기능 Ⅳ. 驛屬의 편성과 立役 1. 驛屬의 편성 2. 驛屬의 입역 Ⅴ. 省峴驛의 驛馬 확보와 立馬 規定 1. 성현역의 역마 보유 실태 2. 驛馬의 改立 규정과 狀啓直使制의 시행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