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청동기의 도상문자와 문장에 나타나는 칭호의 분석을 통해서 商 양식과 西周 양식 청동기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상 양식 청동기의 作器者 검토를 통해서는 亞, 冊, 小子, 小臣, 子, 宰, 王, 子, 大(太)子, 卿事, 師, ?, 侯 등이 상대 금문이 가지는 칭호상의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作器對象者의 분석을 통해서는 1) 族徽와 2) 天干과의 결합이 상대 금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서주시대 청동기 作器者의 분석을 통해서는 公, 侯, 子, 男, 伯, 仲, 叔, 季, 父, 母, 史, 師, 司徒, 守宮, 走(趣)馬, 善(膳)夫, 監, 吏 등이 서주시대에 새롭게 나타난 서주양식의 청동기 作器者일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작기대상자의 분석을 통해서는 상대 양식의 ‘[祖·父·兄·母·?]+天干’의 결합이 점차 사라지고, 청동기 명문의 서주양식이라고 부를 수 있는 1) 父(○父, ○父○, 厥父, 季○父, ○○父 등), 2) 母(○母, ○母○, ○○母, ○○○母, ○○○母○ 등), 3) 公(公, 乙公, ○公, 厥多公), 4) 伯(伯, ○伯, ○○伯, ○伯○, 伯○), 5) 仲(仲, ○仲, ○仲○, 仲○), 6) 叔(○叔, ○○○叔, 叔○, 叔○○), 7) 季(○季, ○季○○, 季○, 季○○), 8) 姓氏(姬, ○姬, 姬○ 등) 등이 西周 양식으로 새롭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Ⅰ. 서론 Ⅱ. ‘金文’ 분석을 통해 본 商 銘文의 특징 Ⅲ. ‘金文’ 분석을 통해 본 西周 銘文의 특징 Ⅳ. 결론 [국문요약] [中文摘要]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