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253.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전기 ⌈蒙山和尙六道普說⌋ 간행의 배경과 의미

  • 91

본 연구에서는 원 임제종 승려 蒙山德異(1232~?)가 설법한 ?六道普說 ?의 내용과 특징, 그리고 ?육도보설?이 15~16세기 집중적으로 간행된 배 경과 그 의미를 통해 고려말 이후 조선전기에 이르는 기간 불교계의 사상 적 신앙적 활동을 살펴보았다. 몽산의 ?육도보설?은 僧俗이 모여 ?華嚴經 ? 간송법회를 가진 뒤 그 功德을 회향하기 위해 설행된 無遮大會에서 법회 에 참여한 대중들을 위해 설해진 것이다. ?육도보설?은 몽산의 다른 저술 들과 마찬가지로 고려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법어약록?과 함께 15~ 16세기 가장 많이 간행된 불서로 조선전기 불교에 미친 몽산덕이 불교의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불서이다. 몽산의 저술 중 조선전기 승려들을 교육하기 위한 기본 禪書로 ?蒙山和尙法語略錄?이 刊經都監에서 언해되 어 유통되었던 것에 비해 ?육도보설?은 개별사찰 단위로 전국에 걸쳐 간행 되었고 언해본도 간경도감이 아닌 지방사찰에서 조성되었으며, 판본에 따 라서는 施食儀文이 합부되기도 하였다. 또한, 몽산에게서 처음 확인되는 육도보설이라는 명칭은 한국불교에서는 나옹혜근과 득통기화에게서만 보 인다는 점은 공통되나, 몽산의 ?육도보설?이 ?華嚴經? 간송과 공덕 회향을 위한 법회에서 설해진 것이라면, 혜근과 기화의 육도보설은 영가천도를 위 해 설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조선전기 ?육도보설? 간행이 16세기 에 집중되어 개별사찰 단위에서 이루어졌던 것은 수륙재와 같은 의식에 의지하여 불교계가 유지되면서도 선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던 조선전기 불 교계의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Ⅰ. 머리말 Ⅱ. 몽산덕이 ⌈육도보설⌋의 설행시기와 특징 Ⅲ. 조선전기 간행 ⌈육도보설⌋ 현존본의 특징 Ⅳ. 조선전기 ⌈육도보설⌋ 간행과 불교계의 동향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