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253.jpg
KCI등재 학술저널

義寂과 新羅의 唯識思想

  • 49

동아시아에서는 慧遠의 ?大乘義章?과 같은 많은 대승 아비다르마 문 헌들이 찬술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唯識學에 의거한 것이었다. 신라 불교 계에서도 이러한 문헌들이 다수 찬술되었는데, 그들 중 義寂의 ?大乘義林 章?과 같은 문헌은 窺基 찬술로 전하는 ?大乘法苑義林章?과 밀접한 관련 을 갖고 있었다. 의적의 ?대승의림장?은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그 逸文이 여러 문헌들에 많이 인용되고 있는 것을 보면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상당히 중시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대승의림장?을 ?대승법 원의림장?에 대한 주석서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善珠의 인용 태도로 보건 데, ?대승의림장? 같은 신라의 문헌들을 단순히 ?대승법원의림장?에 대한 주석서로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7세기 중엽에는 ?대승법원의림장?과 ?대승의림장?을 포함한 여러 대승 아비다르마 문헌들 사이에 다양한 상호 교섭이 있었다고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승의림장? 逸文들의 내용을 통해 義寂의 4種聲聞에 대한 해석을 검토하여 그의 유식사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種聲 聞 이론은 ?法華經論?과 ?瑜伽師地論?에 나타나는 것인데, 의적에게는 ?법 화경론?에 대한 주석서도 전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義寂과 元曉의 사상적 공통성에 주목하고 있지만, 4종성문에 관한 이해에 있어서는 의적 의 견해는 (玄?의 제자로 생각되는) 神肪을 계승하는 반면 元曉와는 차이가 있다. 신라 불교계가 공통점을 가질 것이라는 선입관을 벗어나서 동아 시아 유식학 문헌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Ⅰ. 머리말 Ⅱ. 新羅에 있어서 대승 아비다르마의 발전과 義寂- 신라의 대승아비다르마 문헌 Ⅲ. ⌈大乘法苑義林章⌋과 ⌈大乘義林(廣)章⌋ Ⅳ. 義寂 唯識思想의 특징 : 四種聲聞의 해석을 중심으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