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254.jpg
KCI등재 학술저널

⌈明實錄⌋의 刊行·收藏과 朝鮮 유입

  • 104

중국 역사상에 있어 實錄은 황제 재위 기간 중에 벌어진 사건 등을 연 대순으로 기록한 사료집이다. 明朝도 이전 왕조의 전통을 이어받아 실록 을 편찬하였다. 전임 황제가 죽으면 후임 황제가 祖先의 옛 제도나 纂修 사례를 본받아 각 아문에 보관하고 있던 사료나 지방의 문헌 등을 수집하 여 편찬하였다. 그 결과 ?太祖實錄?부터 ?熹宗實錄?까지 13王朝의 역사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명실록?은 조선에도 유입되었다. 선조 29년(1829)에 북경에 들어 갔던 使行이 이듬해 귀국할 때 구입해 왔다. 그런데 현재 ?명실록?의 행방 은 묘연하다. 일본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일제시대 말 昌德宮 奉謨堂으로 이전하여 소장되었다고 하는 부분까지는 알려졌으나 그 이후 어느 곳에 소장되어 있는지, 없어져 버렸는지에 대해 전혀 알 수가 없다. 단지 한국역 사정보시스템에 ?명실록?이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1933년에 촬영한 ?명실 록?의 유리필름자료(국사편찬위원회) 몇 점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명실록 수장처는 皇史宬으로 환관 12監 중 司禮監이 관할하였다. 서적 의 습기를 막거나 좀 방지를 위해 매년 6월에 실록을 햇볕에 널어 말렸다. 반면 조선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의 重印이 완간되자 강원도 평창 월정사 와 상원사 중간 지점인 오대산서고에 실록을 봉인하였다. 오대산 수호사찰은 월정사로, 오대사사고는 2명의 參奉이 관리 책임을 맡았다. 실록의 보존을 위해 바람을 통하게 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해충을 제거하는 曝? 작업을 애초에는 3년에 1회 실시하였다. 효종 이후는 2년에 1회, 정조 말 이후는 3년 1회 실시되었다. 시기는 우기를 피해 날씨가 좋은 가을의 맑은 날을 길일로 선택해 행하였는데 오대산의 경우는 음력 3~5 월과 8~10월 사이에 행해졌다. 이처럼 명조가 정치를 좌지우지할 정도의 권력을 쥐고 있던 환관들이 실록을 관할하고 있었던 데 반해, 조선은 오대산서고를 월정사 住持나 僧 軍에게 관리하게 한 점에 있어서도 양국 간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Ⅰ. 머리말 Ⅱ. ⌈명실록⌋ 찬수 과정 1. 纂修官의 임명 2. 사료 수집과 초고 작성 3. 上進 Ⅲ. ⌈명실록⌋ 御覽本의 출현 1. 小型 御覽本의 제작 2. 大本-內府 舊本의 복제본 Ⅳ. ⌈明實錄⌋의 收藏處, 內府와 皇史宬 1. 명조의 실록 수장처, 皇史宬 2. ⌈조선왕조실록⌋ 수장처, 五臺山史庫 Ⅴ. ⌈명실록⌋의 조선 유입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