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256.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시대 불교 정책의 성격

  • 484

고려시대에 국가적으로 운영한 불교 제도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僧政 이다. 승정은 관료 제도와 유사하게 국가에 의해 장악되어 실시되었지만 共議라는 형식으로 불교계의 의견이 일부 반영되었다. 그런데 ‘원간섭기’에 국왕이 불교계를 장악하고 자신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특정 승려에 게 주지 추천권을 위임하였다. 이 같은 방식은 당시 승정이 불공정하게 이루 어지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왔다. 사실 승정이 국가에 의해 이루어진 것 자체가 불교계의 국가 예속성을 드러낸다. 게다가 국왕의 총애를 받는 특정 승려가 승정을 장악하게 되면서 불교계의 종속화는 더욱 심화되었고 그로 인해 불교계의 다양성과 자율성이 많이 훼손되었다. 이러한 승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계 비판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결국 조선 왕조 개창 이후 국가가 승정을 대거 축소하거나 폐지함에 따라 그와 관련된 불교계는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보호와 통제의 양면적 관계 속에서 불교적 요소를 가진 신규 세 력을 국가에서는 妖僧 등으로 규정하여 제거하였다. 이때 기존 불교계는 국가의 행동에 정당성을 실어주는 방식으로 자신의 기득권을 침해하는 신 흥 세력을 없앨 수 있었고, 국가는 자신의 통제권 안에 있는 불교계만을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지원하였다. 국가와 불교계의 신규 종교 세력에 대한 공조는 상호간의 이익을 보장했다. 더불어 사이비 종교 세력 중에서 일반 인은 처형하는데 비해 승려는 지방으로 유배보내는 방식으로 일차적 처벌 이 종식되었다. 이는 국가가 수도 중심, ‘중앙중심적’으로 불교계를 관리하 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물론 승계를 가지고 지방 사원 주지로 파견된 승려 도 있겠지만 이들 역시 지속적으로 중앙과 연계되어 있었다. 반면, 국가에 서 어느 정도 도외시한 지방의 승려는 국가의 보호와 통제 대상에 포함되 지 못하였고 수도에 편중된 불교계는 국가의 정책에 쉽게 영향을 받게 되 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고려가 중앙 중심적으로 불교계를 통제하고, 지방에 대해서는 상대적이나마 중앙에 비해 국가에 대한 예속화를 약화하 였다고 추정해 보았다. 이와 같은 고려의 불교 정책의 성격을 다시 정리하자면, 승정과 그 변 화로 인해 국가 예속성이 강화되었다는 점과 중앙 집중적 성향을 가졌다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불

Ⅰ. 머리말

Ⅱ. 승정의 변질과 불교계의 국가예속성 강화

Ⅲ. ‘중앙중심적’ 불교계 운영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