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2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학적 공간 인식의 차이와 대학 영어작문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 연구

  • 267

본 연구는 영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공간 인식에 관한 표현들에 대한 유형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점을 대학 영어 작문 교육에 활용하여 학생들이 영작을 할 때 범하게 되는 오류들의 유형과 빈도를 살펴보고 그 오류 유형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실질적인 영어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생들의 영어 작문 오류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한국어의 장소 조사와 영어의 장소 전치사 사이의 의미적 분류기준이 다르다는 점과, 한국어에서 동작과 상태 모두를 표현하는 많은 경우 영어에서는 상태 표현과 동작 표현 가운데 상태 표현이 보다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으며 이 점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오다' 보다는 영어의 'come'이 직시적 투사 범위가 넓으며, 다양한 사용법을 갖는다는 점을 실제 예를 통해 영어 작문 지도시 학생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동사를 언어와 영어의 위성틀 언어의 차이를 바탕으로 어휘화유형의 차이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 처소 동사의 바탕틀과 전경틀 교체 현상의 차이를 잘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영어보다는 한국어에서 허구이동 표현의 사용이 적고 따라서 허구이동과 관련될 수 있는 영어 작문 표현이 나타났을 때, 영어에서 적극적으로 허구표현의 사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1. 서론 2. 공간 인식을 통해 본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3. 차이점에 대한 영어 작문에서의 활용 방안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