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이 글에서는 ‘-게 하다‘와 ‘-도록 하다‘가 그 의미 기능이 겹치는 문법 항목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문법적 특성과 교수·학습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공통 의미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동문의 성립 조건, 종결 어미의 차이, 조사의 교체, ‘-게‘와 ‘-도록‘ 의 의미적 차이 등을 중심으로 이들의 교체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법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의미 기능을 분석하고, 서로 유사한 의미 기능을 연관 지어 교수·학 습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그 교수· 학습 내용을 위계화해야 하며, 유사한 의미의 형태로서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강조하여 해당 문법 항목의 특성과 규칙을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항들을 학습자들이 발견 학습을 통해 스스로 도출할 것 등을 논의하였다.
1. 머리말 2.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문법적 특성 3.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교수?학습 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