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이 글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실 수업 발화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교사의 발문에 휴지 반응을 선택함으로써,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장면에 대한 요인을 해석해 보고, 국면을 깨뜨리기 위해 필요한 교 사의 발문 전략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휴지 국 면에 따른 발문 전략을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였고, 논의를 위해서 선행 연구에서 관찰된 전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 대화 에서 휴지 반응이 일어난 국면을 해석하면서, 국면을 깨뜨리기 위한 발문 전략으로, 관여 유발 전략, 충분히 시간 주기와 예시 전략, 명료화 전략, 문법 교수 전략, 사회·정의적 전략 등 다섯 가지 발문 전략을 제시하였 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들이 실제 한국어 수업 현장으로 연계되어 활용될 수 있을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들 에게 설문을 하였다. 그 결과, 많은 교사들이 명료화 전략과 예시 및 시간 주기 전략 등을 우선적으로 사용한다는 것과, 제시된 전략에 대한 선호도 가 비교적 유사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 글에서 비중을 두고 연구한 전략들이 현장 교사들에게 의미 있게 활용될 가능성 을 확인하였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이론적 배경 2. 자료 수집과 해석 방법 3. 발문 전략으로 휴지 국면 깨뜨리기 4. 마무리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