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학교문법은 국어교육 현장에서 규범문법으로 교육되는 문법이 다. 그러나 검인정 체제에서의 학교문법은 기존의 국정 체제의 문법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방향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학교문법은 규범 성과 통일성이 약화되어 있다. 2013년에 시작되어 2017년 개발 완료를 목 표로 하는 표준문법은 학교문법이 좀 더 유연한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표준문법은 규범성과 통일성을 가지게 되므로 향후 학교문법의 기술에 중요한 참조문법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이다. 표준문법의 범용성과 보편성은 학교문법이 실제 언어생활에 부합 되는 체계와 내용으로 기술될 수 있는 기반문법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고 본다. 앞으로의 학교문법은 학습자에게 새로운 문법 체계를 습득하게 하기보다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국어지식을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 주고 학습자가 스스로 국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문법 교육은 규범적 국어지식을 주입시키는 대신 국어 자료에 대한 귀납적인 탐구 학습을 통한 논리적인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 로 나아가야 한다. 학교문법은 이러한 탐구 학습적 문법 교육의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1. 들어가기
2. 표준문법의 개념과 기술범위
3. 표준문법의 영역별 기술 내용의 실제
4. 문법 용어 표준안의 제안
5.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의 표준문법의 활용 가능성
6. 마무리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