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수업 중에 수정적 피드백(corrective feedback) 이 실행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내재되어 있는 문제를 발견한 뒤 효과적인 피드백의 실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두 번 의 연구 주기를 반복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해 초급 수준 의 대학 한국어 수업 담화 총 12차시 분량을 녹취 분석하였으며 교사의 수업 일지 작성, 인터뷰를 통해 교사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자 대상의 인 식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에 대한 교사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수정적 피드백의 실천 과정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안을 모색해 보았 다.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이론적 배경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절차 및 방법
3. 연구 결과
3.1. 수정적 피드백의 실행 양상
3.2.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교수 결정
3.3.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수용
4. 논의
4.1. 인식 대상과 교수 결정으로서의 피드백
4.2. 소통으로서의 피드백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