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장차 초등 통합학급을 담당할 일반 예비교사들에게 특수교육 관련과목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 것인가를 논하였다. 먼저, 초등 통합교육 관련 당사자들 (학부모, 교사,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초등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에 관한 요구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이상적인 초등 통합학급 교사는 장애학생 및 특수교육 전반에 관해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갖고, 특수아 교육에 대해 공유된 책임의식을 가지며, 통합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학업적, 행동적 문제를 유능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사람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교육대학교에서의 특수교육 강의는 실제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룸으로써 통합학급에서 수행되는 수업은 물론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문제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 운영 능력을 육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교육대학교에서의 현재 특수교육 지도 실태는 여러 가지 점에서 이상적인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각 교육대학교에서 필수 혹은 선택 형태로 진행되는 특수교육 강좌는 한 학기 2학점, 총 30시간 정도의 시수로 운영되고 있어 그 정도의 양과 질로서는 유능한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양성하기에 역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교육대학교에서의 바람직한 통합교육 담당 교사 교육 방향을 크게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측면과 개별 강의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전자 측면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필수 교과 신설 및 특수교육 심화과정 혹은 초등특수교육 학과 신설, 특수아동 관련 활동 적극 소개 및 권장, 교육실습 활동에 특수교육 관련 활동 지정, 그리고 교육대학원 초등 특수교육 전공 양적 및 질적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교육내용과 강의운영 방식 측면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요 강의 내용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공유된 책임 의식, 통합학급 내에서의 교수-학습 지도, 문제 행동 해결, 그리고 공동 협력 등을 제안하였다. 강의 운영 방식으로는 실제사례 중심의 문제 해결식 접근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현직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 및 질적 개선을 제안하였다.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II. 연구 방법 1. 조사 연구 대상 2. 조사 절차 III. 연구 결과 1. 초등 일반교사 대상 통합교육 대비 교사교육 실태 2. 초등 통합교육 대비 교사교육 요구분석 3. 전문가 집단을 통한 요구조사 결과의 타당화 IV. 논의 V. 제안 1. 교유과정 편제 및 운영 측면 2. 교육내용과 강의 운영방식 개선 3. 연수 프로그램 확대 및 질적 개선 VI.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