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교사평가제에 있어서 ① 평가 목적, ② 평가 내용, ③ 평가 방법, ④ 평가자 등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교사평가제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사평가제 발전의 기본 방향을 ① 교사평가의 목적인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조장하는 목적’과 ‘교사의 직무 수행과 관련된 책무성을 확인하는 목적’ 2가지를 모두 조화롭게 추구하는 방향, ② 교사평가의 내용이 가능한 ‘교사의 교직생활 전 영역과 관련된 능력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향, ③ 교사평가의 방법이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2가지를 모두 조화롭게 추구하는 방향, ④ 교사평가에의 직간접적인 참여 범위를 가능한 ‘교사의 교직생활 전 영역과 관련된 능력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교장, 교감,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등 관련 집단으로 확대하는 방향 등으로 설정하여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I. 서론 II. 교사평가제의 개관 III. 교사평가제를 둘러싼 쟁점 IV. 교사평가제의 발전적 대안 1. 「평가의 목적」면에서 - 「1단계 평가 : 형성평가+2단계 평가 : 총괄평가」체제 구축 2. 「평가의 내용」면에서 - 교직활동에 대한 종합적이고, 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 체제 구축 3. 「평가의 방법」면에서 - 「절대평가+상대평가」체제, 평가결과 본인에게 Fdddback 체제 구축 4. 「평가 참여자」면에서 - 교장ㆍ교감ㆍ동료교사ㆍ교사 자신ㆍ학생ㆍ학부모의 교사평가 직간접 참여체제 구축 V.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교사 (자기) 평가 도구(예시안) [부록 2-1] 나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도구(초등학생용) (예시안) [부록 2-2] 나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도구(중등학생용) (예시안) [부록 2-3] 나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도구(자유진술식) (예시안)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