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교사공동체와 교사몰입의 관계를 교사효능감이 어 떻게 매개하고 있는지,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의 교사효능감이 매개효과에 차이를 보이는 지 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교사공동체로 조직화된 학교 에서 나타나는 가치·규범의 공유와 협동적 풍토는 교사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 다. 교사들은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서로에게 유용한 정보와 기술을 교환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교직에 헌신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 모두에서 교사공동체와 교사몰입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의 교사효능감을 강화함으로써 교사공동체의 교사몰입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집단 수준의 교사효능감이 개인 수준의 교사효능감 보다 더 큰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교사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는 집 단적 교사효능감의 판단에 강력한 자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공동체가 단순한 개인의 합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조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