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혁신학교에서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공동으로 실천하는 수업연구회 활동을 탐색 하여, 교사들의 수업전문성과 교사문화가 변화되는 과정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 해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연구회의 역할을 탐색하고, 학교혁신의 주체로 논의 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의 혁 신학교인 중학교 두 곳에서 다양한 수업연구모임과 공개수업을 참여관찰, 학교구성원 심층면 담, 전교사 설문조사, 학교에서 생성한 각종 문서 등을 수집하여 그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 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혁신학교 교사로서 수업혁신을 위한 수업연구회에 자발적으로 참여 하고 있었다. 수업개선을 위해 동료교사들과 수업연구를 함께 하며 학생배움중심 수업을 만 들기 위해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함으로써, 타 교과 교사의 학 생입장의 피드백을 통해 학생수준에 적합한 수업을 설계하고 있었다. 또한 참여 교사들의 교 과 다양성으로 인해 수업방법과 내용에서 융합교과적인 수업을 만들 기반이 만들어지고 있었 다. 셋째, 교사들은 교육 문제를 중심으로 대화하며 서로 간에 교육적 동료관계를 구축해 가 고 있었다. 교사학습공동체가 가능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민주적 학교운영으로 교사들의 자발 성을 보장한 것, 교사의 행정업무 경감, 학교차원의 시스템구축과 재정적 지원 등이었다. 이 후 장기적 관점에서, 교사들이 학교 안에 교사학습공동체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수업혁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제도적인 뒷받침과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 참 고 문 헌 ▣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