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군 병사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능력 및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병사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00 군 소재하는 보병대대 전투병 356명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Akhtar와 Thomson(1982)의 내현 적 자기애 척도를 사용하여 강선희(2002)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Schlein과 Guerney의 관계성변화 척도를, 문 선모(1980)가 대인관계능력 척도로 한국판으로 수정, 보완한 척도를, Stauffer, Suchaman, Devinney. star & Willims(1949)가 만든 군 생활 적응 척도를, 이윤희(1963)가 번역하고, 신태수(1981)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실 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에 상관분석결과, 군 병사의 내현적 자기애가 군 생활 적응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는 부적인 상관, 군 생활 적응 간에는 정적인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병사의 내현적 자기애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병사의 내현적 자기애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생활 적응을 돕는데 있어서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지휘관심 제고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병영 내에서 적용할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또한, 군 생활 적응을 위 해서는 상담을 통해 대인관계능력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군 집중인성교육과 집단상 담을 통해 대인관계능력 향상으로 군 생활 적응을 돕고, 사고를 예방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방 법
결과
논 의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