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전해처리를 이용한 수용성 절삭유 처리

  • 68

국내의 수용성절삭유는 유분이 5% 정도이고 95%가 수분으로 물로서 희석이 되어 있어 인화되지 않고 오일 처럼 끈적거리지 않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깨끗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산업공정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용성절삭유는 장시간 사용이나 장기 보관할 때에 부패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수용성 절삭유의 이용에 의한 작업 환경에서의 노출은 피부암, 위암, 췌장암, 후두암, 직장암, 담낭암과 강한 연관성을 갖고 있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암을 유발 시킬 수 있는 발암성물질로 의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된 수용성절삭 유의 처리는 지용성 절삭유처럼 소각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며 폐수로 방류하면 CODCr가 약 30,000~100,000ppm 정도의 유기성분에 의하여 수질오염의 주 요인으로 작용하여 수계를 오염시킬 수 문제가 있어 폐 절삭유의 처리는 별도의 처리가 필요한 산업폐기물로 분류되고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이나 하수도법에 의해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므로 제조 및 금속 산업으로 부터 발생되어 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수용성절삭유 폐수는 침강, 부 상분리 및 여과 분리 등의 물리적 처리나 응집, 산화·환원, 활성탄 흡착 등의 화학적 처리 그리고 유기 아 민, 비 이온성 계명활성제, 다가 알콜류 등의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를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 부분 처리 효율이 낮거나 효율이 높으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새로운 처리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수용성절삭유 처리를 위해 전극으로 SUS 316 전극을 이 용하여 전극 간격과 전해질 및 전압변화에 따른 CODCr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이때 전극 간격은 10~85mm로 조절하였으며 전해질은 NaCl, Na2SO4, HNO3 10mM을 사용하였고 전압의 변화는 1~12V로 변환하여 60분 동안 전해 실험하였다. 전극간격 변화에 따른 수용성절삭유의 전해특성을 60분 후의 CODCr 제거효율을 살펴보면 85mm의 전극간격에서는 17.0%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10mm에서는 46.0%의 제거효율을 보여 전극간격이 가 까올수록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며 또한 전해질은 NaCl, Na2SO4, HNO3 10mM을 사용하여 60분 후의 CODCr 제거효율 살펴보면 Na2SO4 46.8%는 HNO3 44.6%는 NaCl 70.6%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어 NaCl이 가장 높은 제 거효율을 보였다. 전압 1~12V 변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