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커버이미지 없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부터 오늘날까지 건강식품으로써 각광받고 있는 굴은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양식을 통해 수요를 충족해 왔다. 소비자 수요를 충족하는 것만 생각하여 시작된 굴 양식은 가공과정에 서 발생되는 굴 패각으로 인한 환경적 악영향을 고민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환경적 영향은 굴 패각에 부착된 육질부패로 인한 악취, 침출수 등이 있고, 나아가 연안 어장의 오염과 공유수면 관리상의 문제 및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적정한 처리가 요구되는 실정이나 굴 패각은 폐기물 관리법에 의거 사업장폐기물로 분류됨에 따라 일반차량으로 운송이 불가하고 폐기물 수송차량으로만 운 송할 수 있어, 위탁처리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어 어업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불 법투기 및 매립을 막기 위해 일부 지자체에서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패각 집하장을 설치하고 있으나, 매 립 종료 후 또 다시 발생될 문제를 생각하면 장기적인 대책이라고 보기는 힘든 방법이다.
Ⅰ. 서 론
Ⅱ. 실험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Ⅴ.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