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하수슬러지의 연료 이용을 위한 최적탄화조건 연구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
- 2014년 춘계학술발표회
- 2014.05
- 183 - 200 (18 pages)
현재 배출되는 하수슬러지는 주로 탈수한 소화 및 잉여슬러지이다. 소화슬러지는 혐 기성 혹은 호기성 소화조에서 처리 후 생산된 슬러지를 말한다. 호기성 소화 슬러지는 짙은 회색을 띠며 약간 흙냄새가 나고, 혐기성 소화 슬러지는 검은색으로 타르냄새가 난다. 혐기성 소화 슬러지의 경우 고형물 함량은 2.5~7%이고, 그 중 유기물질 함량은 60%이다. 생슬러지는 침사지 및 유입펌프장을 통해 1차 침전지로 유입된 하수가 중력 또는 약품에 의한 응집침전 등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를 말하며, 1차 슬러지라고도 한 다. 도시하수의 경우 짙은 회색으로 악취가 나며, 약 4~10%의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 다. 고형물의 70∼80%는 유기물과 휘발성 물질이고 나머지가 무기물질이다. 잉여슬러 지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후 2차 침전지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말한다. 여분의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성분으로 보통 초기에는 회색 내지 짙은 갈색을 띠며 흙냄새가 나며, 하루정도 방치하면 검은색으로 변하며 악취가 발생한다. 약 0.8~2.5%의 고형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그 중 70∼85%가 유기물질이다.
Ⅰ.서 론
Ⅱ.실험 방법
Ⅲ.실험 결과 및 고찰
Ⅳ.결 론
Ⅴ.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