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623.jpg
학술저널

기포 유동층 가스화기(BFBG)를 사용한 석탄 가스화 : 실험 결과 분석

  • 35

가스화기 종류는 크게 고정층, 유동층, 분류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석탄 가스화기 는 주로 분류층을 이용한 대형 가스화시스템 개발에 치중되어 있다. 석탄은 다량의 연료 공급이 용이하므로, chemical 및 합성연료 생산, IGCC와 같이 투자규모가 큰 사업을 대상으로 발전했으며 상용화된 석탄 가스화기는 분류층 방식을 활용하였다. 분류층 가스화기는 석탄을 미분화 하여 이용하고 산소를 가스화제로 사용하므로 수 천 톤/일 이상의 대형 시스템에 적합하며 고온 가스화 과정에서 Ash melting을 동반 하므로 석탄 내 회재 특성에 민감하여 사용 가능한 연료 범위가 비교적 제한적이다. 스팀을 이용한 간접 가스화 방식은 수소함량이 높고 발열량이 가장 좋은 합성가스 생산이 가능하고, 간접가스화 방식은 비싼 산소를 쓰지 않아 기존 석탄 가스화기에 적용되어 왔던 분류층 가스화기와 다르게 대형 플랜트가 아니어도 경제성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1][2].본 실험에서는 BFBG 시스템을 이용하여 석탄 가스화 기본실 험을 진행하고 생성된 합성가스의 변화, 발열량, Tar 생성비등 기본 데이터를 도출 하는 것이 목표이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현재 가스화기 설계에서 사용이 어려운 저 급석탄을 대상으로 하며 스팀을 가스화제로 하는 간접가스화 방식을 채택하여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DFBG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Ⅰ.서 론

Ⅱ.실험재료 및 방법

Ⅲ.결과 및 고찰

Ⅳ.결론 및 실험 계획

Ⅴ.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