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죽음에 관한 문제와 더불어 임종환자들을 어떻게 돌보 아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가 관심과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 한 관심은 영국과 미국 등 서구의 선진국에서는 연구의 주제로 부 각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령화 사회로 인한 다사(多死)시 대의 도래와 암환자 등의 말기환자에게 제공되는 호스피스ㆍ완화의 료의 실정에 대해 살펴보고, 임종과 관련된 윤리적 과제에 대해 논 의하고자 한다. 호스피스ㆍ완화의료를 제공하는 제도와 현황이 나라 마다 다른데, 우리나라는 암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호스피스ㆍ완화의료제도 내에서 대상자와 서 비스 내용 및 전문의료기관 등 구체적인 합의를 하고 건강보험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종과 호스피스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가 어느 정도 거론되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거 론되고 있는 죽음과 뇌사, 임종기 진료결정과 연명치료 중단, 안락 사, 장기 이식(기증) 등에 대한 윤리적 쟁점을 집중적으로 논했다.
서론
호스피스와 완화의료
윤리적 쟁점
결론
참고문헌